[구글 태그 매니저]

 

구글 마케팅 플랫폼 중 2번째 솔루션인 구글 태그 매니저(Google Tag Manager)에 대해 알아보자.

 

구글 태그 매니저(Google Tag Manager)란?

구글 태그 매니저는 구글에서 2012년 가을에 출시한 서비스로 웹 로그 분석 및 마케팅 성과측정등 다양한 분석을 위한 태그를 관리하는 도구이다. 한마디로 태그 추가/수정/삭제를 코드가 아닌 웹화면에서 클릭 & 입력만으로 태깅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이다.

 

구글 페이지에 보면 구글 태그 관리자의 주 목적은 아래와 같이 나와 있다.

마케터들도 쉽게 사이트에 태그 추가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makes it easy for marketers to add and update website tags)

 

원래 태깅이란게 보통 개발자들이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부분에 코드를 삽입하여 진행하는게 대부분의 방식이다.

구글 태그 매니저는 이런 활동을 개발자의 도움 없이 마케터가 필요할 때마다 바로바로 태그를 추가 할 수 있게 해준다.

 

구글 태그 매니저 용어 설명

1. 태그(Tag)

태그(Tag)란? 구글 애널리틱스나 마케팅 분석 툴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HTML에도 태그(Tag)라는 용어가 존재하여, 해당 용어와 헷갈릴 수도 있는데 2개의 용어는 엄연히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HTML 태그 : 콘텐츠(정보)요소들을 정의하는 코드

구글 태그 매니저에서 태그는 위에도 설명했다시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등록된 코드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코드를 개발자가 삽입하는 것이 아닌, 구글 태그 매니저에서 태그를 생성 및 관리가 가능하다.

 

2. 트리거(Trigger)

트리거(Trigger)란 태그가 실행되는 시점에 대한 정의를 말한다.

예를들면,

 - 어떤 페이지를 조회 했을 때

 - 어떤 배너를 클릭 했을 때

 - 동영상 플레이 버튼을 눌렀을 때

등의 사용자 액션이 일어난 시점을 정의 하는 부분이 트리거이다.

 

3. 변수(Variable)

변수(Variable)란 위 태그와 트리거들을 정의할 때 좀 더 수월한 작업을 위해 정의하는 이름 - 값 쌍의 데이터이다.

태깅을 위해 태그와 트리거를 등록하게 되는데 이때 자주 사용하는 트래킹코드나 페이지URL등의 값을 변수에서 바로 받아와 사용이 가능하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이용한 태깅 순서

구글 태그매니저를 이용하여 태깅하는 순서는 아래와 같다.

[구글 태그매니저 태깅순서]

 

1) 태깅대상 선정 : 사이트 또는 앱에서 어떤 영역의 데이터를 수집할 지를 결정한다.

2) 태깅유형 선택 : 태그 등록을 위한 수집하고자 하는 데이터 행동형태를 선택한다. e.g) 페이지 조회, 배너 클릭 등

3) 수집 데이터 정의 : 태그 등록을 위한 수집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정의한다.  e.g) 페이지 URL,제목 또는 카테고리,액션,라벨 값 등

4) 대상 구조 분석 : 트리거 등록을 위한 수집하고자 하는 부분의 소스 구조를 분석한다.

5) 태그/트리거 등록 : 2번~4번에서 정의 및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실제 구글 태그 매니저에 태그 및 트리거를 등록한다.

6) 태깅 검수 : 등록된 태그 및 트리거가 정확하게 동작하는 지 실제 사이트에서 미리보기를 통해 확인한다.

7) 태그 최종 게시 : 태깅 검수 결과 문제가 없다면 최종 운영 게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까지 구글 태그 매니저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이용하면 실제 태깅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지만, 경험상 개발지식이 없는 상태에서는 진입장벽이 어느정도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다.그래도 충분히 활용하면 아주 우수한 도구임은 틀림없으니, 한번 여러분의 사이트에도 등록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이용해보길 바란다.

 

앞으로 구글태그매니저 관련 포스트 들은 사용 사례를 중심으로 업로드 할 예정이다.

 

 

 

+ Recent posts